글 목차
1. 경험적 소비란 무엇인가?
2. 왜 경험적 소비가 주목받는가?
3. 경험적 소비의 대표 사례
4. 경험적 소비와 MZ세대
5. 기업의 마케팅 전략 변화
6. 경험적 소비의 한계와 미래
맺음말
경험적 소비란? MZ세대를 움직이는 새로운 소비 트렌드
물건을 사는 것보다 경험을 사는 시대. 오늘날 소비자들은 제품의 소유보다 감정과 경험에 가치를 둡니다. 이를 ‘경험적 소비(Experiential Consumption)’라고 하며, 특히 MZ세대의 소비 성향을 중심으로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습니다.
1. 경험적 소비란 무엇인가?
경험적 소비는 상품이나 서비스를 구매할 때 그 자체보다는 이를 통해 얻는 감정적 만족, 경험, 추억, 이야기를 중심으로 가치를 부여하는 소비 형태입니다. 전통적인 ‘소유 중심 소비’에서 벗어나, 더 풍부한 감정적 경험을 추구하는 것이 특징입니다.
예를 들어, 고가의 카메라를 구매하기보다 여행지에서의 체험을 영상으로 남기거나, 유명 브랜드 제품을 사기보다는 클래스를 듣고 직접 만드는 것을 선호하는 것이 이에 해당됩니다.
2. 왜 경험적 소비가 주목받는가?
- 디지털 시대의 감정 결핍: 스마트폰과 SNS가 일상이 된 현대인은 실질적인 '감정적 교감'을 갈망합니다.
- 자기표현 욕구 증가: SNS를 통해 자신만의 라이프스타일을 보여주고자 하는 욕구가 커지며 '경험 공유'가 가치로 전환됩니다.
- 불확실한 미래: 특히 MZ세대는 장기적 자산보다는 당장의 '행복'과 '의미 있는 소비'를 중시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3. 경험적 소비의 대표 사례
① 체험형 클래스 & 워크숍
향수 만들기, 도예 체험, 플라워 클래스 등, 물건을 소유하기보다 '만드는 과정' 자체에 집중한 소비가 증가하고 있습니다.
② 팝업스토어 & 체험형 전시
브랜드들은 단순한 판매 공간이 아닌, 방문객이 경험하고 사진 찍고 SNS에 공유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며 체험 소비를 자극하고 있습니다.
③ 여행 및 액티비티 중심 소비
특정 장소를 방문하고, 현지 문화를 경험하거나, 액티비티(스카이다이빙, 서핑 등)를 통해 감각적 경험을 얻는 소비가 늘어나고 있습니다.
4. 경험적 소비와 MZ세대
MZ세대(밀레니얼 + Z세대)는 개인의 가치관과 취향을 소비를 통해 표현합니다. 이들은 물건보다 순간의 경험, 감성, 공감을 통해 브랜드를 평가합니다.
- 트렌드 민감도 높음: 새로운 경험에 대한 열망
- SNS 활용 중심: 소비 = 콘텐츠화
- 브랜드 충성도 낮음: 감정 중심의 선택, 체험이 좋으면 브랜드 전환도 자유로움
5. 기업의 마케팅 전략 변화
경험적 소비가 주목받으면서 기업들은 기존의 ‘제품 중심’ 마케팅에서 ‘고객 경험 중심’ 마케팅으로 전략을 전환하고 있습니다.
① 감성 마케팅
브랜드가 전달하고자 하는 가치, 감성, 스토리를 담은 콘텐츠로 고객과의 교감을 형성합니다.
② 라이브 커머스
실시간 소통과 제품 체험을 동시에 제공하여 ‘참여형 소비’를 유도하는 방식이 경험적 소비 트렌드와 맞닿아 있습니다.
③ 공간 경험의 중요성
브랜드 전용 공간, 플래그십 스토어, 팝업 전시 등 물리적인 공간을 활용해 고객에게 브랜드 경험을 제공합니다.
6. 경험적 소비의 한계와 미래
경험적 소비는 긍정적인 감정과 추억을 만들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지만, 지나친 소비 유도나 '보여주기식 소비'로 변질될 우려도 있습니다.
따라서 지속 가능한 경험 소비, 진정성 있는 브랜드 스토리텔링이 더욱 중요해질 것으로 보입니다.
향후에는 메타버스, VR/AR 기술과 결합된 새로운 형태의 체험 소비가 등장할 가능성도 큽니다.